조건문이란, 우리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는 문장인 if ~ 라면, ~ 이라고 합니다.
배가 고프다면 밥을 먹고, 고프지 않다면 물을 마신다.
hungry = 1 #배고픔이 1 , 안고픔이 0이라고 할때
if hungry == 1:
print('밥을 먹어야지~')
elif hungry == 0:
print('물을 마셔야지~')
else:
print('0과 1중에 입력해주세요')
hungry변수에 0을 입력하면 if를 건더뛰고 elif에서 '물을 마셔야지~'를 수행 출력후 else는 건더뛰고 종료됩니다.
hungry변수에 1을 입력하면 if에 '밥을 먹어야지~'를 수행 출력후 모두 건너뛰고 종료됩니다.
hungry변수에 다른 숫자를 입력하면 if,elif를 건너뛰고 else만 출력후 종료합니다.
조건문은 조건 + 행동(액션) -> 조건문로 수행됩니다.
모든 if 조건문에서는 tap(탭) 들여쓰기가 중요합니다.
사용자에게 숫자를 받고 그 숫자가 홀수인지 짝수인지 파악하는 프로그램입니다.
number = input ('숫자를 입력하세요. : ') #유저에게 숫자를 받습니다
number = int(number) #input으로 받은 값은 문자열이기 떄문에 정수형으로 변경해줍니다.
if number % 2 == 1: #만약 number에 2로 나누고 나머지가 1과 같을때
print('홀수') # '홀수' 출력
else: #아니면 나머지는
print('짝수') # '짝수' 출력
nested 중첩된 조건문 사용
tap(들여쓰기)를 확인하며 잘 보시면 됩니다.
회원가입을 한다고 가정했을때
email = input("E-Mail를 입력하세요. : ") #사용자에게 받은 값을 email에 저장
if '@' not in email: #만약 email에 @가 없다면
print("다시 입력해주세요.") #다시 힙력해주세요 출력
else : #@가 있다면
password1 = input("Password를 입력하세요. : ") #사용자에게 받은 값을 password1에 저장
if len(password1) < 4 or len(password1) > 8: #만약 password1의 문자열 길이가 4보다 작거나 8보다 크다면
print("Password의 길이는 4자리 이상 8자리 이하로 입력하세요.") #Password의 길이는 4자리 이상 8자리 이하로 입력하세요. 출력
else: #아니라면
password2 = input("Password를 다시 입력하세요. : ") #사용자에게 받은 값을 password2에 저장
if password1 != password2: #만약 password1과 password2가 다르다면
print("Password가 일치하지 않습니다.") # Password가 일치하지 않습니다. 출력
else: #일치한다면
print("회원가입이 완료 되었습니다.") #회원가입이 완료 되었습니다. 출력
'Python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(파이썬)의 Break와 Continue (0) | 2021.11.28 |
---|---|
Python(파이썬)의 Loop(반복문) for loops (0) | 2021.11.28 |
Python(파이썬)의 Comparison Operators(비교 연산자),and게이트,or게이트 (0) | 2021.11.27 |
Python(파이썬)의 Comment(주석, 코멘트) 사용하기 (0) | 2021.11.27 |
Python(파이썬)의 set(집합) 만들기와 set연산자 (0) | 2021.11.27 |